노동법2 [노무사] 노동법의 의의 (칼럼식) 1. 자본주의 체제의 태동 자본주의 체제에서는 생산수단인 돈, 기술, 설비 등을 소유한 자본가들이 규모와 수익을 늘리는 것이 중요시되며, 경쟁을 통해 자본가들 간 경쟁력을 높이고 이를 통해 경제발전을 이루고자 하는 사회체제입니다. 이러한 체제에서는 근로자는 자본가들의 고용을 받아 일하고, 이를 통해 급여를 받습니다. 하지만 이러한 체제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면, 열악한 근로조건과 장시간 노동으로 인한 재해보상의 어려움, 사장의 불법행위에 대한 근로자의 불이익, 그리고 해고의 자유 등이 있습니다. 이러한 부작용은 양 당사자가 대등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이며, 따라서 근대 시민법이 수정되기 시작하게 됩니다.2. 근대 시민법의 수정 근대 시민법에는 소유권 절대 원칙, 사적 자치(계약자유.. 2023. 3. 28. [노무사] 노동법의 의의 (요약식) 1. 자본주의 체제 대두 2. 근대 시민법의 등장 및 3대원리 1) 소유권 절대 원칙 2) 사적 자치 (계약자유) 원칙 3) 과실책임주의 : 내가 잘못한 것만 책임진다 ※ 근대 시민법 = 민법 (양 당사자가 대등한 것을 전제로 함) ↔ 공법 (형법, 행정법) 3. 부작용 1) 열악한 근로조건 2) 장시간 노동 등 → 재해보상 어려움 (*사장님은 책임질 필요가 없음) 3) 사장님 이건 잘못되었어요 → 불법행위 (*단결활동 금지) 4) 개중 주동자를 해고해 버림 → 해고의 자유 * 부작용은 왜 생겼냐? 양 당사자가 대등하지 않기 때문에 생김. 사장과 근로자는 대등하지 않기 때문에 근대시민법이 수정되기 시작함 → 이 과정에서 노동법과 같은 사회법이 생성, 발전하기 시작함 * 노동법은 근대시민법 수정 과정에서 .. 2023. 3. 28. 이전 1 다음